AI8 [Ai의 역사] [여덟 번째 이야기][추천 알고리즘] ### 데이터 마이닝과 추천 시스템의 발전: 넷플릭스 프라이즈와 협업 필터링의 중요성 --- **1. 넷플릭스 프라이즈: 추천 시스템의 혁신적 도전** 2006년, 넷플릭스는 추천 시스템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넷플릭스 프라이즈'라는 대회를 개최했습니다. 이 대회는 넷플릭스 사용자의 영화 평점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우승자에게는 100만 달러의 상금이 주어졌습니다. 넷플릭스 프라이즈는 데이터 과학자들과 연구자들이 경쟁적으로 참여하며, 추천 시스템의 발전을 가속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 **2. 데이터 마이닝과 추천 시스템의 역할** 데이터 마이닝은 대규모 데이터에서 특정 패턴을 발견하고 이를 추출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추천 시스템은 이러한 데이터 마.. 2024. 1. 13. [AI의 역사] [일곱 번째] [네비게이션] ### GPS와 스마트 네비게이션의 발전: 머신러닝과 알고리즘의 역할 --- **1. GPS의 군사적 기원과 발전** 1970년대, 미국은 군사 목적으로 24개의 GPS 위성을 쏘아 올렸습니다. 이 시스템은 초기에는 민간에서 사용할 수 없도록 일부러 오차를 100미터 정도 발생시키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군사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전략이었습니다. 그러나 2000년, 클린턴 정부는 이 오차를 제거하여 민간에서도 정확한 위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습니다. 이 변화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켰으며, 이후 GPS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 **2. 스마트 네비게이션의 등장과 발전** GPS 기술의 발전에 따라,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단순한 위치 정보.. 2024. 1. 13. [AI의 역사] [여섯 번째] [챗 봇] ### 인공지능 챗봇과 언어 모델의 발전: 이루다, GPT, 그리고 그 너머 --- **1. 인공지능 챗봇의 도전: 이루다와 테이** 2020년, 한국에서는 딥러닝을 활용한 첫 챗봇인 '이루다'가 등장했습니다. 이루다는 자연스러운 대화 능력으로 큰 주목을 받았지만, 개인 정보 보호 문제로 인해 서비스가 시작된 지 2주 만에 중단되었습니다. 이루다의 사례는 인공지능 챗봇이 실생활에서 얼마나 복잡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앞서 2016년에는 마이크로소프트의 AI 챗봇 '테이(Tay)'도 비슷한 문제를 겪었습니다. 테이는 인터넷에서 이상한 데이터를 학습한 후 부적절한 발언을 쏟아내면서 서비스가 중단된 바 있습니다. 이 사례들은 인공지능의 학습 데이터가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어태껏 이렇.. 2024. 1. 13. [AI의 역사] [다섯 번째 이야기] [기계번역] ### 인간 언어의 복잡성과 기계 번역의 발전 --- **1. 인간 언어의 복잡성: 세 가지 이유** 인간의 언어는 매우 복잡하고 정교하며, 이를 기계가 이해하고 번역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따릅니다. 그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역사와 유행에 따라 무작위로 생성**: 언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화하고 변합니다. 역사적 사건과 문화적 변화는 새로운 단어와 표현을 만들어내며, 이는 언어를 더욱 복잡하게 만듭니다. 이러한 변화는 종종 규칙적이지 않으며,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계가 이를 완벽하게 이해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2. **수많은 오류**: 언어는 사람이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오류가 발생합니다. 문법적인 오류, 철자 오류, 발음 오.. 2024. 1. 13. [AI의 역사] [네 번째 이야기] [인공지능 비서] ### 인공지능 음성 비서의 발전과 음성 인식 기술의 진화 --- **1. 인공지능 음성 비서의 등장: 시리에서 구글 어시스턴트까지** 2011년, 애플은 아이폰 4S에 인공지능 음성 비서인 시리(Siri)를 처음으로 탑재하면서 음성 인식 기술의 대중화에 불을 지폈습니다. 시리는 두 달 뒤 애플에 인수된 후, 1년 만에 아이폰에 정식으로 포함되었습니다. 이후 2014년에는 아마존이 에코(Echo) 스피커를 출시하며 인공지능 스피커 시장에 진입했습니다. 2016년에는 구글이 구글 어시스턴트(Google Assistant)를 출시하며 음성 비서 시장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습니다. 한국에서도 인공지능 스피커의 발전이 빠르게 이루어졌습니다. 2016년 SK텔레콤은 누구(Nugu)를 출시했고, 2017년에는 네이.. 2024. 1. 13. [AI의 역사] [세번 째 이야기] [구글의 검색 방법] 검색엔진의 등장과 발전: 네이버, 구글, 바이두, 야후의 여정 **1. 검색엔진의 초기 등장과 야후의 한계** 인터넷 초창기 시절, 야후(Yahoo)는 웹페이지를 사람이 직접 정리하고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당시 인터넷은 아직 규모가 작았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이 가능했습니다. 그러나 인터넷의 성장 속도는 너무나 빠르게 진행되었습니다. 1994년에는 전 세계에 약 700개의 웹사이트만 존재했지만, 불과 1년 후인 1995년 말에는 그 수가 10만 개에 달했습니다. 이처럼 폭발적인 성장은 기존의 수작업 방식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 되었고, 야후의 한계가 드러나기 시작했습니다. --- **2. 구글의 등장과 혁신적인 검색 방식** 이러한 상황에서 등장한 것이 바로 구글(Google)입.. 2024. 1. 12. [AI의 역사] [두번 째 이야기] [자율주행 편 테슬라] 자율주행의 역사를 이끈 다르파 그랜드 챌린지와 머신러닝의 발전 2004년 3월, 자율주행 기술의 역사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되는 다르파(DARPA) 그랜드 챌린지가 캘리포니아에서 처음으로 개최되었습니다. 이 대회는 자율주행차 기술을 시험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열렸으며, 미국 국방부 산하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주최했습니다. 당시 자율주행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었고, 대회 결과는 다소 실망스러웠습니다. 어떤 차량도 결승점에 도달하지 못했고, 일부 차량은 출발도 하지 못하는 등 결과는 참담했습니다. 하지만 이 첫 대회는 자율주행 기술의 가능성과 한계를 확인하는 중요한 경험이었습니다. 기술적인 실패에도 불구하고, 이 대회는 자율주행 기술 발전의 촉매제가 되었습니다. --- ### 2005.. 2024. 1. 12. [AI역사] [첫번 째 이야기] [AI 역사] 첫 번째 이야기: 알파고 --- **1. 인공지능의 기원** 1770년, 오스트리아에서 등장한 '메케니컬 터크'는 사람을 속여 기계가 체스를 두는 것처럼 보이게 했던 초기의 사례입니다. 이후, 1956년 다트머스 대학교에서 ‘지능을 가진 기계’라는 주제로 열린 학술회의에서 인공지능(AI)의 개념이 처음으로 제안되고 사용되었습니다. 1958년에는 인공 신경망의 초기 모델인 퍼셉트론이 등장했으며, 이는 AI 발전의 기초를 마련했습니다. --- **2.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부상** 1980년대에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이 등장하면서 사람이 규칙을 입력하지 않아도 학습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었습니다. 그러나 2000년대 초반까지 인공 신경망은 주목받지 못했으며, 2010년대에 들어서야 이미지 인식 .. 2024. 1. 12. 이전 1 다음